연도 | 주제 |
---|---|
2020 | 의료 과학 기술 발달과 간호 접목 |
2018 | 바른 인성 함양을 위한 스토리텔링 |
무엇이 우리의 삶을 쓰레기로 만드는가 | |
2017 | 4차 산업혁명과 미래의료 전망 |
Actigraph사용법과 연구 활용 범위 | |
가상현실 기반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| |
2016 | 미래 간호학 연구에서 간호과학연구소의 역할 |
2015 | 연구재단 연구비와 보건복지부 사업수주 준비과정 |
감염관리 역할과 과제 | |
위험사회에서의 간호의 역할과 방향 | |
2014 | Evidence-based practice in health care |
심신치유 간호 및 연구를 위한 통합적 접근 모델 | |
Team Based Learning을 활용한 교육 및 연구: 이론소개 및 실제적용 | |
2013 | 보건복지 빅데이터의 활용 |
보건의료비용 추정방법 | |
조직성 창출을 위한 효과적인 조직활성화 전략 | |
2012 | Cancer Screening Research in US and Korea |
Effect of Aroma Essential Oil in Vascular Tone and Ca2+ Signaling | |
질적연구의 자료수집과 자료분석 | |
2010 | 생산적회의를 위한 효율적 퍼실리테이션 스킬 |
Relationship Management MBTI | |
간호연구자를 위한 연구윤리와 출판윤리 | |
조직변화관리 | |
2009 | 심장박동변이도(heart rate variability, HRV)의 이해와 활용 |
Life transition theory model for clinical research | |
2008 | Nursing Education and Research in USA |
2007 | -저혈당과 당뇨벙 식이요법, 잘못된 식생활 개선, 성인병 식이요법 |
영과 육의 건강 | |
Integrating Research, Clinical Practice and Teaching | |
2006 | Prospects : 간호효율성 연구의 최신 이슈와 전망 |
Nursing Interventions Effectiveness Research in the US : Issues and | |
가족관계의 병리현상과 치료 Motality | |
2005 | 평생전자건강정보(Electronic Health Record)의 현황과 전망 |
치료적 접촉의 이론과 실제 | |
국제 전문 학술지 게재전략 | |
구음장애(Dysarthria)와 연하곤란(Dysphagia)의 병태생리와 중재 | |
2004 | 저출산 고령사회의 보건복지학적 연구과제 |
암환자와 전인건강 요법 | |
Public Health Nursing(National System and Practice) in Thailan | |
2003 | Health care system & Social welfare in Sweden |
2002 | 인구통계의 새로운 조명 |
2001 | 미래간호의 경향 |
2000 | 한방간호의 현황 및 전망 |
1999 | 미국 목회간호의 과거, 현재, 미래 / 최신 기독교 전도 전략 |
연역적 이론 구축 | |
21세기 병원 경양과 취업지도 안내 | |
미국 노인간호의 실제 및 연구동향 | |
보완요법-발 반사 마사지 | |
1998 | Biofeedback의 이론과 실제 |
미국 간호계의 최근 동향 | |
임상 영양지원 | |
1997 | 발달장애아동의 진단과 교육 |
산업전문간호사 제도와 산업간호사업 방향 | |
영아 성장 발달 사정 | |
통증관리의 최신동향 | |
1996 | VDT증후군과 예방대책 |
산업보건의 현황과 발전 방향 | |
간호학과 교육목표 및 교과과정 개발 | |
보건의료정책 개발 | |
Glocal Health Issues & WHO Role | |
관절염 환자 관리 세미나 | |
1995 | 21세기 변화와 간호사업의 방향 |
간호교육학에 있어서의 CAL(Computer Assisted Learning) | |
Nursing Phenomena | |
Prenatal Care와 Breast Feeding | |
의료 및 간호전산화 | |
1994 | 간호교육의 발전과 전망 |
간호발전의 방향 |
42601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 계명대학교 성서캠퍼스 간호대학 전화 : 053-258-7611~7615 | 팩스 : 053-258-7616
Copyright(c) Keimyung university college of nursing. All rights reserved.